반응형

 

자신의 면역체계가 자신의 몸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 중 하나인 크론병의 치료는 완치가 힘든 병입니다. 대부분의 치료가 병세의 완화에 촛점을 두고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크론병의 치료에 기생충을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고 합니다. 

 

크론병

 

​​

 

크론병은 사람의 입부터 시작되어 항문까지의 소화기관 일체에 모두에 생길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질환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궤양에 의한 대장염 등과 다르게 장의 전체 등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이 대장과 소장의 연결부위에서 주로 발병하며 그외에 대장, 소장 등에서도 자주 발병합니다.

 

정확한 크론병의 원인이 밝혀진건 아니지만 추정하기로는 마이코박테리아 또는 홍영바이러스의 감염에 발병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다른 원인으로 추정되는 것이 자가면역질환으로 장 내에 존재하는 유익한 세균 등에 대해 면역체계가 면역반응을 과하게 일으켜 발생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크론병은 다음의 증상을 보입니다.

  • 복통
  • 설사
  • 체중의 감소
  • 구토, 발열, 피로감, 식요 감퇴, 허약감 등의 증상
  • 소화기관에 염증 발생

크론병의 진단은 대부분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외에도 자기공명장치를 통해서도 진단이 가능합니다.

 

 

크론병을 치료하는데 기생충이 유망할 수 있다

 

자가면역질환으로 발생하는 크론병의 경우 치료 방법으로 최근에 기생충을 이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는 '위생가설'에서 시작됩니다.

 

위생가설이란 현대에 들어서 과거와 다르게 위생에 신경을 많이 쓰고 환경도 좋아지면서 너무나 위생적인 상황에서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면역활동을 할 대상이 없어지면서 과민하게 면역활동을 하게 되면서 자가면역질환이 늘어났을거라는 가설입니다.

 

기생충을 이용한 크론병 치료의 시도는 2005년 미국 아이오와대 로버트 섬머 박사가 최초로 시도했습니다.

아무리 치료를 위한 기생충이라도 기생충이라는 이미지에 먼저 거부반응부터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체에 전혀 해를 주지 않는 기생충을 이용해 장내 면역체계가 공격할 대상을 만들어줌으로써 자가세포가 면역체계의 공격을 받지 않도록 시도했습니다. 

 

결과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나왔다고 합니다.돼지편충 알을 일정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섭취(?)하게 한 30명의 실험군에서 13명이 현저한 효과를 보았다고 합니다.

 

거부감이 드는 기생충이지만 도리어 우리 몸의 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새삼스럽습니다. 크론병을 완치할 수 있는 그날이 빨리 오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자가면역질환 크론병을 치료하는데 기생충이 유력한 후보가 될 수 있다는 내용 알아보았습니다.

 

나의 장상피화생 진단과 치료법 대처법 알아본 결과

 

나의 장상피화생 진단과 치료법 대처법 알아본 결과

건강검진에서 위내시경 검사를 했는데 좋은 않은 결과가 나왔다. 장상피화생이라고 한다. 그래서 장상피화생 진단과 치료법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 장상피화생 진단 근 몇 년간

zero-start.tistory.com

 

​ ​

​​​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