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투자의 접근 나이가 점점 어려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초등학생도 주식투자를 하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본인이 관심을 가져 투자를 시작하는 경우도 있고 부모님이 자식의 장래를 생각해 미리 주식에 투자를 시작해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또는 초보 주식 투자자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은행 이자나 적금보다는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주식투자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에게 배당주 투자도 좋은 방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배당주란?

 

주식 투자를 통해 이익을 얻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시세차익을 얻는 방법이고 또 하나는 배당을 받는 방법입니다. 시세차익은 내가 산 가격보다 주식의 가격이 높아졌을때 수익을 실현해서 이익을 얻는 방법이고 배당은 해당 기업이 잘 운영되어 이익이 날 경우 주식을 소유한 주주들에게 현금이나 주식 등으로 이익을 나누어 주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배당을 다른 주식에 비해 많이 주어 높은 배당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주식을 배당주라고 하바니다.

 

배당이란?

 

배당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이 이익이 나면 그 이익을 보통 3가지의 방법으로 사용합니다. 하나는 사업의 성장을 위해 이익을 재투자하는 방법이 있으며 또하나는 자사의 주식을 매입하는 방법, 그리고 주주들에게 배당을 지급하는 방법입니다. 

 

이중 배당은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를 통해 지급하며 지급 시기에 따라서 결산배당, 중간배당, 분기배당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국내 기업은 보통 결산배당을 많이 해왔고 해외에서는 분기배당을 하는 기업도 많은 편입니다. 국내기업도 중간배당이나 분기배당을 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배당은 현금을 지급하거나 주식으로 지급합니다.

  • 현금배당 : 가장 일반적으로 기업의 이익을 가지고 지급하는 방식으로 주당 금액으로 표시.
  • 주식배당 : 기업의 이익을 주식의 형태로 지급하며 주당 기준 혹은 백분율로 표시.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주당 5천 원 배당을 결정하며 100주를 보유한 주주는 50만원을 배당일 기준으로 지급받게 되며, 주식배당의 경우 삼성전자가 5% 또는 주당 0.05주를 배당하기로 했다면 주주는 20주당 1주의 주식을 배당받게 됩니다.

 

이렇게 기업이 배당을 지급하는 이유는 기업은 배당을 통해 주주와 이익을 나누고 기업을 지지해준 주주에게 높은 수익률과 장기간 보유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