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독경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글 제목 이미지

 

경제생활의 패러다임에 변화가 소유와 공유경제 넘어 구독 경제 시대가 되었습니다. 소유의 종말을 쓴 제러미 리프킨 교수는 미래의 경제생활이 물건에 대한 소유를 넘어 서비스와 경험에 대한 접속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재화를 소유하고 이를 통해 이뤄지는 경제활동인 실물 경제에서 공유경제가 화두가 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제는 구독 경제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대유행으로 인해 여러사람과의 접촉이 주가 되는 공유경제가 주춤해지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르는 구독 경제가 무엇인지, 사회와 기업에 구독 경제가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구독 경제 Subscription Economy 시대

 

구독 경제 Subscription Economy는 소비자가 정해진 기간 동안 정해진 금액을 지불하면 계약된 제품을 정기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경제활동을 말합니다. 

사실 이러한 것이 완전히 새로운 개념은 아닙니다. 예전부터 익숙하게 사용하던 우유배달이나 신문배달이 대표적인 구독 경제의 물품 중 하나였습니다.  일부에서 되던 서비스는 서서히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갔습니다. 일명 렌털이라고 불리는 구독 경제 아이템이 자리 잡으면서 처음에는 정수기부터 비데, 침대, 가전제품까지 그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구독경제를 보여주는 넷플릭스 화면 이미지
넷플릭스

 

유통 및 소비재에 집중되었던 아이템들이 최근에 들어서는 그 범위가 소비 트렌드에 따라 다변화, 다각화되고 있습니다. 모바일과 통신기술의 발전에 더해 코로나로 인한 강제적인 생활습관의 변화가 도화선이 되어 디지털 플랫폼과 소비자의 요구사항들이 맞물려 생활 전반에 넓게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구독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신문과 우유배달이 익숙한 세대를 넘어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세대에게 구독은 어쩌면 당연하고 편안한 단어일지도 모릅니다. 유튜브에서부터 넷플릭스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멜론과 같은 음원, 게임 등 디지털 미디어와 콘텐츠는 이미 대표적인 구독 경제의 한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구독 경제는 확장과 접근이 빠른 디지털 미디어를 넘어 경제활동의 전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OTT 플랫폼을 넘어 모빌리티 자동차 업계, 의료, 헬스, 생필품에 이르기까지 일반화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제조업 중 하나인 자동차 산업에서도 공유경제를 넘어 구독 경제 Subscription Economy가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구독을 하게 되면 차량 한 대를 렌트하는 것이 아닌 입맛에 맞게 여러 차종을 변경해가면서 바꿔 탈 수 있는 렌털 상품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자동차 산업에서 공유경제는 정책과 규제의 장벽을 넘지 못하고 실패했지만 구독 경제는 착실하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구독 서비스는 자동차 산업에까지 확산되었다.
구독경제의 확산

 

구독 경제의 미래 고객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

 

구독 경제의 구조가 변화되고 있습니다. 과거의 대중적인 규모에서 개인적이고 세분화된 구조로 변화되고 있습니다.

세분화되고 개인적인 구조가 가능한 것은 디지털 플랫폼이 증가하고 정보의 접근성, 개별 모바일 기기의 보급과 이로 인한 구매 과정의 단순화가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개인화되는 구독서비스

이러한 서비스 구조는 고객과 기업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D2C를 기반으로 한 구독 서비스와 AI, 빅데이터 등이 고객의 니즈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이용해 고객이 원하는 바를 판매하는 고객 맞춤형 구독 서비스가 대세가 되고 있습니다. 즉 ICT의 기술적 발달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고객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가 구독 경제의 핵심이 되면서 화장품, 생필품, 꽃, 도서, 의류 등 개인적인 니즈가 명확하고 세분화된 라이프 스타일에 밀접한 서비스가 구독 경제에서 이루어지면서 소비자의 만족감이 매우 높아지고 있습니다.

 

구독서비스는 개인화 되어 음식에까지 구독 서비스가 등장했다.
음식 구독

 

결국 구독 경제가 지향해야 할 방향은 한동안 고객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가 될 것이고 이의 성공 여부는 고객의 만족감을 어떻게 이끄러 낼지와 이 만족감을 충족시킬 데이터 수집이 중요해졌다. 

일상생활 속에서 소비자의 행복감과 만족감을 충족시켜 잠재고객의 브랜드 충성도를 높여 지속적인 소비자가 되도록 구독 경제를 소비자의 니즈 파악과 소비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필요까지 만족시켜주는 것이 핵심이 될 것이다.

 

관련글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